졸업 후 진로

▣ 표준전문가

1. 표준전문가의 정의

  • 1기업, 정부, 단체 등에서 표준화, 적합성 평가 및 계량 측정 분야의 직무를 전문적으로 수행하는 사람으로서 관련된 지식, 기술, 경험을 갖춘 인적자원

2. 표준전문가의 직무분류

  • 1표준화, 적합성 평가, 계량 측정 분야에서 수행 업무를 국제표준 기구 등에서 통용되는 직무를 기반으로 15개로 분류

대분류중분류 
 표준화
(Standardization)
1. 표준 기획 및 평가(전략수립, 우선순위선정, 성과평가 등)
2. 표준 개발(자체 개발, SDO 위탁개발, 단체표준 채택)
3. 표준 보급(마케팅 및 판매, 정보 제공)
4. 표준 기타(대외협력, TBT/규제대응 및 정책, 대외협력 등)
적합성평가
(Conformity
Assessment) 
1. 적합성평가 기획 및 평가
2. 시험
3. 검사
4. 인증(제품인증, 경영시스템 인증)
5. 인정(시험기관, 교정기관, 검사기관, 제품인증기관, 경영시스템 등 인정)
6. 적합성평가 기타 
 계량측정
(Metrology)
1. 계량측정 기획 및 평가
2. 과학측정(측정표준, 표준물질, 참조표준)
3. 산업측정(교정, 정밀측정)
4. 법정계량(법정단위, 계량기 형식승인 및 검정, 포장상품 실량표시 등)
5. 계량측정 기타 
확대

3. 표준전문가의 일자리

  • 1APEC 역내 21개 회원국에서 표준 관련 일자리는 총 100만여 명으로, 기업 90만여 명과 정부·표준전문기관 10만여 명으로 추정
    -표준화 분야에 30만여 명, 시험·검사·인증 등 적합성분야에 60만여 명, 법정계량·측정·참조표준 등 계량측정 분야 10만여 명 수준 
    -Barnes社(2014)는 2014년 APEC 회원국의 시험·인증분야 일자리를 중국 30만, 일본 13만, 인도네시아 6만, 러시아 3.1만, 일본 2.8만, 한국 1.2만 등 총 65.4만여 명으로 추산

4. 표준전문가의 커리어

1) 표준 관련 정부기관 및 준정부기관

  • 1국가기술표준원, 한국표준협회, 국립전파연구원 등
  • 2표준 정책 및 보급 등 역할을 주도

2) 표준개발협력기관(COSD)으로 지정된 기업

  • 1산업표준법 제5조에 근거하여, 산업표준의 제정 및 개정을 효율적으로 추진하기 위하여 기술적·행정적 업무를 지원하는 기관(국가지정으로 지속적 확대 예정)
  • 2약 70여개 협회 및 연구기관으로, 민간 수요조사 및 표준안 개발 업무를 주로 함
  • 3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, 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, 한국환경산업기술원, 한국국토정보공사, 수자원공사, 한국건설기술연구원, 한국산업기술시험원, 한국전기연구원, 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, 한국기상산업기술원, 한국계량측정협회, 한국철강협회, ...

3)  표준 업무를 포함하는 민간기업

  • 1대기업(삼성, LG, SK, 현대, 한화, 포스코 등), 중견기업, 중소기업에 분포
  • 2표준전략 개발 및 시험, 인증 등 업무를 주로 하며, 제조, 서비스, 전자, 식약품 등 다양한 분야에 포진

5. 본 학과의 특장점

  • 1표준 특성화 대학원으로서 표준에 관한 집중교육과 함께 다양한 학문 간 융합교육을 병행토록 하여 학습자의 역량을 제고함
  • 2한국표준협회, 표준고위과정 등 관련 기관 및 단체와 연계하여, 직무수요를 반영한 코칭을 통해 전문화된 커리어를 쌓을 수 있도록 도움